본문 바로가기
경제 인사이트

주택 임대사업자 개념 등록방법 상세정리

by 나우의경제노트 2025. 2. 10.
반응형

목록

1.주택임대사업자

2.주택임대사업자 장점

3.주택임대사업자 등록법

 

 

주택임대사업자

안녕하세요, 나우의 경제노트입니다. 어느덧 1년이 지나 또다시 방계약을 연장할 시기가 왔는데요,

방주인분께서 '주택임대사업자'라고 하시는데 정확한 뜻을 몰라 황당하여있는 상황이 싫어서

이렇게 공부하는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

 
 

1. 주택임대사업자

말 그대로 주택을 임대하는 사업자라는 뜻입니다.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한 주택을 임대하고,

임대 소득을 얻는 사람이나 단체를 법적으로 등록된 사업자로 정의하는 것인데

사업자등록을 통해 집주인분께서 임대 소득을 법적으로 인정받게 되며

임대하는 주택이 많거나, 정기적으로 임대 소득을 얻는 경우 세재 혜택 혹은 의무사항을 위해

등록이 필요합니다.

 

2. 사업자 등록 시 장점

아무래도 사업자 등록시 얻게 되는 장점이 명확하기에 이를 법적으로 등록하고 운영하고 있지

않으실까 생각합니다.

세재 혜택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소득세 및 재산세 감면을 받습니다.

등록된 임대주택에 대해 취득세 일부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임대 기간이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 주택 매매 시 양도세 감면 혜택을 받기도 합니다.

신뢰성

등록된 임대사업자는 정부가 공인한 사업자이니 세입자가 안심하고 계약할 수 있는 하나의

신뢰징표로 보이기도 합니다.

주택임대사업자

출처 렌트홈

 

사업자등록 시 의무사항

임대료 인상제한

등록된 상버자는 임대료를 5% 이상 인상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매년 5%씩 인상이 되는 것입니다.

사업자 등록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려면 국세청과 지방자치단체에 사업자 등록이 필수입니다.

임대차 계약신고

모든 임대차 계약을 정식으로 신고해야 하며 세입자에게 공정한 계약서를 제공해야 합니다.

​3. 주택임대사업자 등록법

 

주택임대사업자

국세청 홈페이지를 통해 주택임대업의 사업자등록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

온라인, 오프라인 둘 다 가능

소득세법에 따라 사업자등록만 신청할 경우 [홈텍스]를 통해 신청을 할 수 있기도 하며

세무서를 방문하여 신청할 경우엔 임대주택 명세서를 미리 작성하여 관할 세무서 방문을 통해 가능합니다.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임대사업자등록과 소득세법에 따른 사업자 등록을 함께 신청할 경우

인터넷은 [렌트홈]에서 임대사업자등록 신청, 국세청 사업자 신고 체크를 통해 가능하며

직접방문은 시군구청을 방문하여 임대주택 명세서를 미리 작성하여 주소시 시군구청 방문하면 가능합니다.

 

 

렌트홈(임대등록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