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 1.버팀목전세자금 2.대출기간 및 상환방식 3.신청방법 4.맺음말 |
안녕하세요 나우의 경제노트입니다. 오늘은 정부에서 서민을 위한 정책 중
근로자 및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해 시행 중인 버팀목전세자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 합니다.
1. 버팀목전세자금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대출상품으로 전세 자금이 필요한 국민에게 비교적 낮은 금리로 자금을
빌려주는 제도입니다.
대출대상
아래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분들에 한해서입니다.
- (계약) 주택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임차보증금의 5% 이상을 지불 한 자
- (세대주) 대출접수일 현재 민법상 성년인 세대주 ( 대출실행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세대분가 또는 세대 합가로
인한 세대주 예정자
여기서 말하는 세대주는 세대별 주민등로상에 배우자, 직계존속 (배우자의 직계 존속 또한 포함) 또는
직계비속인 세대원(형제, 자매는 세대원에 미포함)으로 이루어진 세대의 세대주를 의미합니다.
일반대출자
|
연소득 5천만원 이하인 세대주
|
|
청년층
|
만 34세 이하, 연소득 5천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
|
|
신혼부부
|
혼인 7년 이내의 부부로
연소득 6천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
|
|
다자녀 가구
|
버팀목전세자금
|
대출한도
대출한도는 지역별로 상이하며 임차보증금의 최대 80%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실제 대출한도는
보증금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 알려드립니다.
서울특별시
|
최대 1억2천만원
|
|
수도권 및 도시지역
|
최대 8천만원
|
|
기타지역
|
최대 7천만원
|
대출금리
기본 금리 : 연 1.8% ~ 2.4%

부부합산 연소득에 따라 금액별 금리가 상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신청지원자의 연소득 및 대출 금액에 따른 금리를 꼭 한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2. 대출기간 및 상환 방식
대출기간 : 2년 단위로 최대 10년까지 연장이 가능합니다.
소득 수준과 대출자의 조건에 따라 금리가 차등적용되는데 예시로 저소득층 및 다자녀
가구에는 추가로 금리 인하 혜택이 주어집니다.
신청시기
1. 임대차계약서상 잔금지급일과 주민등록등본상 전입일 중 빠른 날로부터3개월 이내까지 신청
2. 계약갱신의 경우 계약갱신일(월세에서 전세로 전환계약한 경우에는 전환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신청
3. 기본 전세자금 대출과 별도로 담보부 보증(HF, HUG)에 대해서도 보증 신청 기간 내 신청 완료해야 됩니다.
3. 신청방법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신청방법은 주택도시기금 포털을 통해 신청하거나
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은행 등 주택도시기금과 협약된 은행 직접방문을 통해 신청이 가능합니다.
필요항목
신분증, 소득증빙서류, 임대차 계약서, 주민등록본 등의 서류를 필수로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4. 맺음말
오늘은 버팀목전세자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요즘같은 어려운 시기 정부에서 서민을 위해
제공한 정책을 잘 활용하여 타파해나가야할듯 합니다. 서민들에게 주거안정을 위해
제공된 해당 정책을 유용히 잘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경제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LH행복주택 알기쉽게 내용 총정리 (1) | 2025.01.16 |
---|---|
기초연금 노령연금 수급자격 금액 및 정보 (0) | 2025.01.15 |
청년전세대출 조건 금리 및 은행별 종류 상세정리 (2) | 2025.01.15 |
종합소득세 필독 해외주식 양도세 절세방법 (0) | 2025.01.15 |
2025년 금시세 및 ETF 금 투자 방법(국내주식,해외주식) (0) | 2025.01.15 |